MSO 가이드

병원 MSO 계약 시 의료법 검토 포인트 5가지

호구 MSO 2025. 9. 9. 08:00

 

병원 MSO 계약 시 의료법 검토 포인트 5가지. 계약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의료법적 요소들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.

MSO 도입 시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는 의료법 위반입니다. 특히 진료권 침해, 사무장병원 오인, 비의료인 소유 문제 등이 걸림돌이 될 수 있죠.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병원이 MSO 계약 전 반드시 검토해야 할 의료법적 포인트 5가지를 정리해 드립니다.

1. 진료권 명확성

진료와 관련된 의사결정은 반드시 병원장, 즉 의료인이 독립적으로 해야 합니다.

계약서에 “MSO는 진료권에 개입하지 않는다”는 조항을 명확히 포함해야 의료법 위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
2. 소유권 및 운영권 분리

병원 소유와 운영권이 비의료인에게 넘어가는 구조는 사무장병원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MSO와 병원 지분 관계 또는 자금 흐름이 분명히 분리되어야 합니다.

3. 수익배분의 합법성

수익 구조가 불명확하거나 비이익 배분 구조일 경우, 의료행위가 아닌 이익 추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.
투명한 기준, 정량적 수익배분 구조를 계약서에 포함해야 합니다.

4. 비의료인 개입 제한

MSO가 의료 외적인 업무만 수행해야 하며, 진료 또는 진료의사 결정에 개입하면 안 됩니다.
예: 진료 시 간접 지시, 일정 조정 등도 법적 리스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5. 법률 자문 여부

MSO 계약은 의료법, 상법, 세법 등 여러 법률이 얽힌 복합 영역입니다.
특히 사무장병원 여부, 진료권 침해, 수익배분 구조에 대해 반드시 의료 전문 변호사 자문을 거쳐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저도 병원 MSO 계약을 준비하시는 분 많이 만나봤는데요, 계약서 한 문장 차이로 큰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걸 실감했습니다.
오늘 정리한 5가지 포인트만 꼼꼼히 확인하시면, 의료법 위반 걱정 없이 MSO 도입을 준비하실 수 있을 거예요.
혹시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. 함께 고민해드릴게요!